죄와 벌의 주인공인 라스콜니코프는 전당포 노파와 전당포 노파의 동생인 라자베타를 살해한다. 살해의 동기는 라스콜니코프가 가진 다소 이해하기 힘든 사상으로 '비범한 사람'에게는 미래를 향한 선을 위해 악한 행동이 용납된다는 것이었다. 라스콜니코프의 시선에 전당포 노파는 그저 많은 돈을 가진채 가난한 사람들의 피를 빨아먹는 '이'와 같은 존재로 살아있을 가치가 없는 악한 존재이기 때문에 라스콜니코프는 자신의 살인이 미래를 위한 어쩌면 당연히 해야 할 정당한 행동이라고 자부한다. 라스콜니코프는 살인을 저지르고 난 뒤 운 좋게 범행현장을 잘 빠져나왔지만 '살인'이라는 죄에 응당한 '벌'을 받게 된다. 꿈에 전당포 노파가 비웃는 모습으로 자신을 조롱하는 악몽을 꾸고 주위에서 라스콜니코프가 벌인 살인 사건에 대한 ..
가끔 프런트엔드 부분 개발을 진행하다 보면 사용자가 잘못된 접근을 했을 때나 아니면 성공적으로 무언가를 완료했을 때 등등 Alert나 Confirm을 통해 사용자와 상호작용을 해야 할 때가 있습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제공해 주는 Alert와 Confirm은 따분하기 그지없는 디자인으로 이쁜 디자인의 웹을 개발하려고 하는 개발자의 심기를 건드리는 부분인데요. 다행히도 마음 아파할 필요 없이 우리가 직접 Alert, Confirm을 제작하면 됩니다. 제작하기 전에 먼저 생각해야 할 점은 Alert, Confirm과 같은 모달창의 특성은 배경화면 위에 존재하는 요소이며 해당 요소가 존재할 때는 배경화면과의 상호작용은 금지되고 오직 Modal하고만 상호작용 할 수 있는 구조가 되어야 합니다. 배경화면 위에 또..
날카로운 면도칼의 날을 넘어서기는 어렵나니. 그러므로 현자가 이르노니, 구원으로 가는 길 역시 어려우니라. 날카로운 면도칼의 날을 넘어 설만큼 굉장히 어려운 마치 형용할 수 없는 무언가가 있다. 면도날의 등장인물 중 래리는 그것과 마주하게 된다. 마치 칼로 된 거대한 절벽을 마주 보며 이 절벽을 넘어야 한다는 사념에 휩싸인 채 그는 알 수 없는 무언가에 도전한다. 그런 모습들은 일반적인 궤도에서 벗어나 남들에겐 이해하기 힘든 모습으로 보인다. 하지만 그런 시선 따위는 상관없다. 래리에게는 오직 그 산을 넘어야겠다는 생각에 사로잡혔기 때문이다. 래리는 많은 것에 도전을 하며 문제에 대한 해답을 찾아나간다. 여러 곳을 여행해 보고 광산에서 고된 일도 해보며 미친 듯이 공부도 해봤다. 결국 래리는 문제에 대한..
저번주 화요일에 대장내시경을 했다. 지루하기 그지없는 대장내시경 준비과정이 싫긴 하지만 안한지 5년이 다되어가는 상황이라 내 몸의 상태가 걱정이 돼 내심 하고 싶은 마음이 조금 있었기도 하고 마침 나의 몸상태가 점점 안좋아져 이제는 못 버티겠다고 말씀드리니 2개월 뒤에 대장내시경을 하자고 하셨고 결국 그날이 저번주 화요일이었다. 작년 2월부터 항문통증으로 안그래도 고행길인 인생에 어둠이 서렸고 올해 1월에는 치루가 재발하여 2월에 수술하고 항문 주변에 피가 묻어서 헐어있는 상태였기에 매일 진통제 하나를 먹지 않으면 무언가를 하기 힘든 몸 상태였다. 아무래도 항문 쪽이 안좋다보니 대장내시경 하기 전에 하는 과정이 두려웠으나 언제나 그랬듯이 그럼에도 불구하고 견뎌내야 하기 때문에 그저 하나의 힘든 날로 남았..
주인공인 케어리 필립은 장애를 가지고 태어나며 어린 나이에 부모님을 잃고 가부장적인 백부와 자상한 백모 손에 자라게 된다. 사제인 백부는 어린나이인 필립에게 종교적인 부분들과 교육을 강제한다. 또 다른 누군가의 고유한 삶이 아닌 부모님의 꼭두각시 마냥 제2의 인생처럼 겪어왔던 경험에 의해 정해진 이정표를 따라가야만 한다. (초등학생인 나의 꿈이 공무원이었던 게 생각난다.) 이러한 부분들이 지금의 2023년에도 진행 중이며 어쩌면 인간의 본질을 담은 영속적인 부분일 수도 있다. 필자에게는 이러한 부분들이 인간으로서 겪게 되는 하나의 굴레들이라고 생각한다. 백부나 주변의 사람들은 대학에 가는 걸 권유하지만 그런 것들을 뿌리친 체 케어리 필립은 자신의 삶을 살아간다. 자신이 좋아하는 미술에도 도전해보고 백부..
자신이 만든 사이트에 등록된(회원가입한) 유저들은 로그인이라는 과정을 거쳐 자신이라는 걸 증명합니다. 그리고 로그인한 유저들은 매번 어떠한 특정 페이지에 이동하거나 개인적인 정보가 담긴(프로필) 프라이빗한 페이지 같은 곳에 이동할 때 자기자신이라는 인증과정을 거쳐야 합니다. 이러한 과정을 Authentication이라하며 세션, 토큰 등등 다양한 인증 방식이 있지만 필자는 JWT토큰이라는 방식과 Simple JWT, react-cookie모듈을 통해 인증방식을 구현해 보겠습니다 Simple JWT 문서 Simple JWT — Simple JWT 5.2.2.post14+g8258b5f documentation Simple JWT provides a JSON Web Token authentication b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