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f outer_func(): score_list = [] record = {} def inner_func(sub_name, score): score_list.append(score) record[sub_name] = score average = sum(score_list) / len(score_list) return f'평균점수 = {average}, 기록 = {record}' return inner_func 필자는 클로저 형태의 함수를 처음 마주했을 때 외부 함수가 내부 함수 객체를 그대로 반환하는 부분에 대해 이해가 가질 않았다. 지금 다시 생각해보면 그때 필자는 그냥 냉정하게 객체라는 개념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지 않았나 싶다. (사실 지금도 부족하다) 과거로 돌아가서 클로저를 다시 보게 된다면 ..
우리 집에 경사가 났다. 사실 경사가 난 건 이틀 전인 2022년 5월 27일 금요일이다. 미루다가 이틀뒤인 오늘 쓰게 된다. 무슨 일이 있었나면 드디어 우리 작은누나가 9급 공무원 시험에 합격했다. 작은누나는 4년간?(3년인가? 아마 4년이 맞을거다.) 9급 시험에 도전했고 곧 9급 지방직 시험을 앞두고 있는 상태였다. 근데 누나가 서울시 9급 시험을 보고 왔다고 했다. 매번 지방직 시험을 봤는데 이번에 무슨 추가모집 어쩌고...(필자는 공무원 세계를 잘 모른다) 아무튼 지방직 시험 보기 전에 서울시 시험을 봤는데 1차 합격되고 3주 전쯤에 2차 면접을 치룬상태였다. 그리고 이틀 전인 2022년 5월 27일에 좋은 소식을 얻게 되었다. 필자는 과거의 경험을 통해 행복한 사람이 되기 위해선 자신이 좋아하..
def tag(name, *content, cls=None, **attrs): """HTML 테그 만들기""" if cls is None: attrs['class'] = cls if attrs: attr_str = ''.join(f' {attr}="{value}"' for attr, value in sorted(attrs.items())) else: attr_str = '' if content: return '\n'.join(f'{c}' for c in content) else: return f'' print(tag('h1', 'HelloWorld!', cls='navbar')) >>>HelloWorld! 위 코드는 책에서 본 HTML 코드를 만드는 함수인데 필자는 이 코드를 보고 한 번에 이해하지 못했..
별로 알리고 싶지 않은 사실이지만 필자는 희귀병을 2개 가지고 있다. 하나는 크론병 다른 하나는 낭포성 섬유증(보인자) 참고로 낭포성 섬유증은 굉장히 위험한 병이지만 다행히 필자는 완벽한?? 낭포성 섬유증이 아니라서 췌장만 다른 사람들보다 기능적으로 떨어진다.(그래서 한때 췌장염이 자주 발병하곤 했다.) 그리고 크론병은 그냥 간단하게 일반 사람들보다 장이 조금 안 좋다. 16살에 치루 수술로 크론병을 확진받았고 7년이 지난 지금 3주마다 소량의 항암제를 맞고 한 끼는 밥 대용인 모노웰이란 장질환자용 가수분해 식품을 먹으면서 가진 것에 매번 감사하며 행복하게 잘 살고 있었다. 하지만 최근 크론병으로 인해 몸이 조금 더 악화되었다. 배가 아파서 아산병원에 들렸고 대장조영술로 내 몸의 상태를 확인했다. 대장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