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S] 비동기 처리를 위한 Promise 객체 ES6에서 비동기 처리를 위한 패턴으로 Promise라는 객체가 등장했다. 현재는 Promise를 활용한 Fetch API나 Axios같은 비동기 통신 라이브러리를 통해 비동기 처리 시점이 명확해지며 ES8에 등장한 async/awa tcitr-antoliny.tistory.com 콜백 패턴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등장한 Promise객체와 ES8버전에서 등장한 async/await 구문으로 인하여 비동기처리와 관련된 코드의 가독성이 뛰어나게 좋아졌다. 오늘은 비동기 처리 코드의 형식을 동기 형식과 유사하게 바꿔 한 단계 더 성장한 가독성을 자랑하는 async/await과 관련해서 포스팅을 작성하고자 한다. 동기 형식 일단 먼저 기존의 Promise객체를 ..
ES6에서 비동기 처리를 위한 패턴으로 Promise라는 객체가 등장했다. 현재는 Promise를 활용한 Fetch API나 Axios같은 비동기 통신 라이브러리를 통해 비동기 처리 시점이 명확해지며 ES8에 등장한 async/await 구문으로 더욱더 직관적인 형태로 발전했다. 그렇다면 Promise가 생기기 전에는 어떻게 비동기 처리를 했을까? 콜백 패턴 Promise가 등장하기 이전에는 주로 콜백함수를 통해 비동기를 구현했다. 비동기 함수가 서버와의 응답을 끝냈을때의 후속 처리를 할 함수를 인자로 받는 형식이다. 만약 독자들의 블로그 DB에서 포스트 목록을 가져온다고 생각해 보자. 테스트를 진행하기 위해서 필자가 getUserRepository함수를 만들었으며 해당 함수는 success와 fail ..
★ 포스팅을 작성하기에 앞서 spread문법은 iterable, iterator와 관련된 선수지식을 필요로 합니다. ★ [JS] 이터러블(Iterable), 이터레이터(Iterator) ES6에서 이터레이션 프로토콜이라는게 도입되었다. 이전에는 순회 가능한 데이터들 예를 들면 배열이나, 문자열 같은 객체들은 통일된 규약 없이 나름의 개별적인 구조로 각자 다양한 방법으로 tcitr-antoliny.tistory.com 두 개의 배열을 각각 순회하여 각 배열에 있는 값들을 새로운 배열에 추가하고 싶다. 가장 먼저 생각나는 방법은 함수를 만든 뒤 내부에서 for문을 통해 값을 줄 배열을 순회하면서 push함수로 새로운 배열에 값을 추가하는 방식이었다. var arrA = [1, 2, 3]; var arrB =..
ES6에서 이터레이션 프로토콜이라는게 도입되었다. 이전에는 순회 가능한 데이터들 예를 들면 배열이나, 문자열 같은 객체들은 통일된 규약 없이 나름의 개별적인 구조로 각자 다양한 방법으로 값을 순회할 수 있었다. 하지만 ES6에 이터레이션 프로토콜이 등장하면서 순회가능한 객체들을 iterable한 객체라고 하며 해당 객체들만이 누릴 수 있는 순회와 관련된 문법(스프레드, 디스트럭처링 ...)이 사용될 수 있도록 통합되어졌다. Iterable 사실 파이썬 iterable, iterator와 관련해서 필자가 포스팅을 작성한 적이 있는데 사실 JS도 똑같은 개념이다. iterable, iterator 단어의 뜻 그대로 각각 "반복할 수 있는", "반복자"이며 파이썬에서는 해당 객체에 __iter__ 매직 메서드..
대부분의 사람들이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환경 설정, 아키텍처, 인프라와 관련된 문제와 부딪힐 때쯤 도커와 마주하지 않을까 싶다. 필자도 친구들과 프로젝트를 진행하기 위한 준비과정에서 모두가 각자 다른 운영체제를 사용했기에(맥, 윈도우, 리눅스) 운영체제와 관련 없이 어느 곳에서든 동일하게 동작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야겠다는 생각에서 시작하여 결국 도커와 마주하게 됐다. 도커란 뭘까? 도커 공식사이트에서는 도커에 대해 이렇게 설명하고 있다. 간단하게 요약하면 도커는 인프라에서 분리하여 쉽게 개발, 배포, 실행할 수 있다고 한다. 사실 공식설명만 봐서는 처음 접하는 사람에겐 공식문서의 설명이 와닿을 수 없다고 생각한다. 위 설명으로 일단 도커의 장점은 알겠는데 도대체 어떠한 방식으로 인프라를 분리하는 걸까?..
드디어 저번주 목요일 레미케이드 1차를 맞았다. 잠깐 지나가고 말 것이라고 느꼈던 항문통증은 작년 2월부터 날 계속해서 괴롭혔다. 이런 항문통증이 레미케이드 1차 맞고 바로 다음날부터 거의 느껴지지 않았다. ????????????? 어떻게 이럴 수가 있을까? 놀랍게도 치루 수술한 부위가 4개월가까이 아물지 않고 농이 계속 나왔는데 레미케이드 1차 맞고 난 뒤부터 농도 거의 안나오는 상태이고 통증 또한 거의 사라진 상태다. ????????????? 지옥같은 항문통증의 끝은 어디일까 끝이 보이지 않는 터널 속을 걷는 기분이었다. 하지만 그 터널은 단 하루의 꿈처럼 눈 떴더니 사라졌다. 정말 정말 간절히 바랬던 소원이었는데 이렇게 쉽게 이뤄지니 허망함이 내 배를 채웠다. 너무나도 좋지만 소름 끼치는 부분들이 ..